레플리카 쇼핑몰 기술은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을 바꾸고 있습니다.

금전적 거리 두기 확대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과 소회사는 28일 오전 6시부터 제4차 재난지원금인 '버팀목자금 플러스'를 요청할 수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의 말을 인용하면 버팀목비용 플러스 요청 대상은 집합금지 또는 영업제한 규제를 받거나 매출이 감소한 소상공인과 소기업이다.

지급 대상자는 약 382만명으로, 지급액은 총 7조7천억원이다.

지난해 12월 24일부터 올해 3월 11일까지 중대본·지자체의 집합금지 조치가 6주 이상인 산업체(실내체육시설·노래방 등)는 600만원을 받는다. 6주 미만인 사업체(학원 등)는 800만원을 받게된다.

같은 시간 영업제한 조치를 이행했고, 작년 준비 수입이 감소한 사업체(식당·카페·숙박·PC방 등)는 600만원을 받는다.

집합금지나 영업제한 규제를 받지 않은 일반업종의 경우 매출감소 유형과 경영위기업종으로 나눠 피해 정도에 맞게 700만∼100만원이 지급된다.

구체적으로는 ▲ 매출 80% 이상 감소(여행사·청소년수련시설 등) 600만원 ▲ 매출 70% 이상~20% 미만 감소(공연·전시 등) 210만원 ▲ 수입 60% 이상~40% 미만 감소 100만원 ▲ 기타 수입 감소(연 https://www.washingtonpost.com/newssearch/?query=레플리카 수입 40억원 이하 업체) 800만원이다.

하지만 사회적 거리 두기로 영업제한을 받은 기업이라 하더라도 2018년보다 지난해 수입이 증가한 경우는 지원받지 못한다. 또 일반업종으로 새희망자금이나 버팀목비용을 지원취득했더라도 전년 매출이 올랐다면 마찬가지로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또 1인이 다수 사업체를 관리하는 경우 최대 6개 산업체에 대해 1천만원까지 지급한다.

image

신속 지급 대상자에게는 이날 오전 9시부터 안내 문자 메시지가 발송된다. 지원금 요청은 누리집(버팀목자금플러스.kr)에서 할 수 있다.

이날은 산업자등록번호 끝자리가 홀수, 22일은 짝수인 사업자만 요청할 수 있다. 34일 이후에는 홀짝 구분 없이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1인이 수많은 산업체를 운영하는 경우 다음 달 9일부터 신청할 수 있다.

29∼38일은 정오까지 요청 시 오후 5시부터, 오후 2시까지 신청 시 오후 7시부터, 자정까지 신청 시 다음 날 오전 레플리카 9시부터 각각 지급된다.

이에 따라 버팀목비용 플러스를 당일 받으려면 오후 1시까지 참여하면 된다.

24일 오전 9시부터는 버팀목비용 플러스 전용 콜센터(1811-7500)를 관리하고 온,오프라인 채팅 상담도 한다.